엄나무 (해동목) | |
엄나무는 식물분류학상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으로서 전국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 |
주로 산지의 숲속에서 잘자라며 나무높이가 25m에 달한다. | |
유사종으로는 당엄나무,털엄나무, 가는잎 엄나무 등이 있다. | |
어려서는 그늘에서 잘 자라지만, 자랄수록 약한 햇볓을 좋아한다. | |
줄기에는 넓은 가시가 많아 옛부터 우리 조상들이 잡귀를 쫓는다고 하여 대문에 걸어 놓기도 한 나무이다. | |
한편 줄기가 굵어질수록, 가시는 없어지고,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며 둥굴고 | |
5∼9갈래로 반정도의 깊이까지 갈라지는데 팔손이나무잎과 흡사하다. | |
완전히 전개된 잎은 넓이가 10∼30cm로서 잎이 큰 편이며 엽병도 길다. | |
잎 표면에는 털이없고 윤기가 나며 뒷면의 잎맥 겨드랑이에는 담갈색의 털이 있다. | |
꽃은 황록색으로 한 여름인 7∼8월에 10여개 안팍의 새가지 끝에 각기 작은 꽃이 우산꼴로 뭉쳐 피어난다. | |
열매는 둥글며 10월에 검게 익는데 열매의 구조를 살펴 보면 내부는 2개의 핵(핵)과로 이중 1개는 죽정이가 대부이다. | |
엄나무 종자는 미숙배이면서 2중휴면성을 가지고 있는 등 발아시키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많다. | |
대개 가시가 있는 나무는 독이 없고 염증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 |
따라서 찔레나무, 아카시아나무, 탱자나무 등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나무는 | |
갖가지 암, 염증 치료에 귀중한 약재가 될 수 있다. | |
관절염, 종기, 암, 피부병 등 염증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신경통에도 잘 들으며, | |
만성간염 같은 간장질환에도 효과가 크고, 늑막염, 풍습으로 인한 부종 등에도 좋은 효과가 있으며 진통작용도 상당하다. | |
또 늘 복용하면 중풍을 예방한다. | |
당뇨병에도 일정한 치료작용이 있고, 강장작용도 있으며, 신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 |
껍질을 쓰기도 하고 뿌리를 쓰기도 한다. | |
잎을 그늘에 말려서 치를 달여 마시면 좋은 향이 난다. | |
껍질을 쓸 때는 겉껍질을 긁어서 버리고 속껍질만을 쓰는데 여름철에 껍질을 벗겨야 잘 벗겨진다. | |
엄나무의 어린 새순은 나물로도 흔히 먹는다. | |
봄철에 연한 새순을 살짝 데쳐 양념을 해서 먹으면 독특한 맛과 향이 난다. | |
엄나무 순은 개두릅나물이라 부르기도 한다. | |
◎ | 약성 및 활용법 |
대개 가시가 있는 나무는 독이 없고 염증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 |
따라서 찔레나무, 아카시아나무, 탱자나무 등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나무는 | |
갖가지 암, 염증 치료에 귀중한 약재가 될 수 있다. | |
엄나무의 약효는 다양하다. | |
먼저 관절염, 종기, 암, 피부병 등 염증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신경통에도 잘 들으며, | |
엄나무 속껍질이나 뿌리로 술을 담가 먹어도 신경통, 관절염, 근육마비, 근육통 등에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 |
또한 늑막염이나 기침, 가래 끓는 데에는 엄나무 뿌리 생즙을 복용하면 매우 효과를 볼 수 있다. | |
만성간염 같은 간장질환에도 효과가 크고, 늑막염, 풍습으로 인한 부종 등에도 좋은 효과가 있으며 진통작용도 상당하다. | |
또 늘 복용하면 중풍을 예방한다. | |
당뇨병에도 일정한 치료작용이 있고, 강장작용도 있으며, 신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 |
껍질을 쓰기도 하고 뿌리를 쓰기도 한다. 잎을 그늘에 말려서 치를 달여 마시면 좋은 향이 난다. | |
껍질을 쓸 때는 겉껍질을 긁어서 버리고 속껍질만을 쓰는데 여름철에 껍질을 벗겨야 잘 벗겨진다. | |
엄나무의 어린 새순은 나물로도 흔히 먹는다. | |
봄철에 연한 새순을 살짝 데쳐 양념을 해서 먹으면 독특한 맛과 향이 난다. | |
엄나무 순은 개두릅나물이라 부르기도 한다. | |
◎ |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 | 저산성 만성 위염 |
엄나무 껍질(해동피)을 가루내어 6 ∼ 8g씩 식전에 먹는다. | |
○ | 만성간염이나 간경화 초기 |
엄나무 속껍질을 잘게 썰어 말린 것 1.5kg에 물 5되를 붓고 | |
물이 1/3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한번에 20ml씩 하루 세 번 밥먹고 나서 혹은 밥먹을 때 같이 복용한다. | |
대개 4~5개월 정도 복용하면 80%쯤은 치유된다. | |
잎을 달여서 차로 늘 마시면 효과가 더 빠르다. | |
○ | 신경통, 관절염, 근육통, 근육마비, 신허요통 |
엄나무 뿌리를 생즙으로 내어 마시면 좋다. | |
무르고 두꺼운 뿌리껍질을 토막토막 잘라 갈아서 생즙을 내어 맥주잔으로 하루 한 잔씩 마시면 탁월한 효과가 있다. | |
특히 신허요통에는 즉효를 본다. | |
○ | 만성신경통, 관절염 |
전통적인 방법으로 내린 엄나무기름을 사용하면 신효한 효험이 있다. | |
그리고 옴, 종기, 피부병, 늑막염 등에도 신기할 정도로 효험이 있다. | |
이 기름을 생수에 타서 복용하면 된다. | |
○ | 관절염이나 요통 |
엄나무를 닭과 함께 삶아서 먹는다. | |
○ | 삼차 신경통 |
엄나무 속껍질 6~12g을 잘게 썰어 물 200㎖에 넣고 100㎖가 되게 달여 | |
하루 2번에 나누어 먹고 찌꺼기는 아픈 곳에 붙이기도 한다. | |
◎ | 민간요법처방 |
○ | 강장보호(腔腸保護)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거담(祛痰)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견인통(堅忍痛) |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관절류마티즘(관절경결:關節梗結) |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관절염(關節炎) |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구충(驅蟲)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 |
○ | 당뇨(糖尿) |
잔기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20일 동안 복용한다. | |
○ | 목이 잘 움직이기 않을 때(閃腰:섬요) |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다령서 3~4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신경통(神經痛)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신장병(腎臟病)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복용한다. | |
○ | 요통(腰痛)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위궤양(胃潰瘍)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
○ | 위암(胃癌)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위염(胃炎) |
잔가지나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급,만성). | |
○ | 위장염(胃腸炎)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이뇨(利尿)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진통(陣痛)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 |
○ | 진해(鎭咳)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창종(瘡腫)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 |
○ | 척추질환(脊椎疾患)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풍습(風濕)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풍치(風齒)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 혈액순환(血液循環) |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 | 엄나무 기름 만들기 |
천연유약을 바른 무공해 항아리 두 개를 준비한다. | |
항아리는 약간 큰 것을 주둥이만 나오게 땅에 묻고, | |
나머지 항아리에 엄나무를 쪼개 채운 후에 입구를 두꺼운 삼베로 두 겹쯤 봉한 후 | |
거꾸로 해서 땅에 묻은 항아리 주둥이 안으로 엎어 올려 놓는다. | |
작은 항아리의 주둥이가 땅에 묻은 큰 항아리의 주둥이 속에 들어가 꼭 들어 맞도록 크기를 맞추어 준비해야 한다. | |
맞물린 주둥이 부분으로 오물이나 화기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밀가루반죽 혹은 진흙을 잘 반죽하여 발라 밀폐시킨다. | |
위에 있는 항아리의 몸통을 밑에서부터 새끼줄로 감아 올라가 풀어지지 않도록 한 다음 | |
질좋은 황토를 반죽하여 3센티 이상의 두께로 항아리에 발라준다. | |
왕겨를 그 위에 부어주는데 항아리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3자 정도의 담을 만들어 주면 | |
왕겨를 쌓아올리기 한결 수월하고 왕겨도 덜 들게 된다. | |
그런데 담장 아래부분으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설치가 되어야 왕겨가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며 잘 타들어 간다. | |
철망같은 것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 |
항아리가 완전히 묻힐 정도로 왕겨를 붓고 불을 붙인다. | |
일단 불이 붙으면 스물스물 타들어 간다. | |
불이 너무 싸면 왕겨 위에 물을 슬슬 뿌려주기도 하고 왕겨가 타면서 사그러 들면 다시 왕겨를 보충해 가며 태우면 | |
아래 항아리에 엄나무 기름이 내려와 고이게 된다. | |
불이 꺼지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3~5일 정도 태워야 하므로 중간에 비올 경우를 생각해 지붕도 설치하는 것이 좋다. | |
왕겨가 다 타고 열이 식으면 땅에 묻은 항아리에 고여있는 엄나무기름을 항아리에 담아 | |
흐르는 물에 한 이 삼일 담가두어 화기를 빼주고, 잘 걸러 유리용기에 밀폐하여 보관해두고 필요할 때 사용한다. | |
너무 오래 태우면 화기가 독하여 먹기가 거북하고 너무 일찍 불을 빼면 엄나무기름이 싱거우므로 | |
적절한 시기를 맞추기 위하여는 상당한 경험이 필요하다. | |
이 기름에는 왕겨의 극강한 화력에 의해 황토기름이 약간 스며 나와 합류되어 약성을 도우며, | |
왕겨 속에도 간, 담병에 도움이 되는 약성이 있어 옛부터 기름을 내는데 쭉 써 왔다. | |
신경통이나 요통,만성간염,간경화,황달 등에는 | |
한번에 소주잔으로 반 잔 정도에 생수를 다섯 배쯤 타서 | |
복용하고 옴이나 종기 갖가지 피부병에는 기름을 아픈 부위에 바른다. | |
온갖 종류의 피부병에도 신기하게 잘 듣는다 | |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엄나무기름이나 뿌리의 즙은 늑막염에 신효하다 |
출처 : 꿈의 궁전
글쓴이 : 푸른늑대 원글보기
메모 :
'식물·원예·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과(苦瓜) (0) | 2011.08.10 |
---|---|
[스크랩] 허브-스테비아의효능과 쓰임새는? (0) | 2011.06.12 |
[스크랩] 엄나무 (약명:해동목 海桐木) (0) | 2011.04.27 |
[스크랩] 먹지 말아야 할 독성 채소 (0) | 2011.04.27 |
[스크랩] 양배추는 신이 내린 선물 (0) | 201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