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농장·농사,재배방법

[스크랩] 지렁이 사육

천국정원사 2016. 11. 10. 14:16

 

지렁이 생태


2.1 높은 온도를 좋아한다.


가장 적당한 온도는 15~25℃이다. 가장 적합한 온도를 맞춰주기 위해 겨울에는 비닐온실이나 비닐로 덮어주고, 여름에는 차광을 해주며, 물을 많이 주어 온도를 내린다. 0~5℃는 겨울잠에 들어가고, 0℃이하에는 얼어죽으며, 40℃이상에서도 죽는다. 32℃이상에서는 성장이 멈춘다. 북경지역에서는 10월 25일 온실의 비닐을 덮고, 년 4월 10일 비닐을 벗긴다. 이러한 상황에서 12월20일 이후부터 익년 2월 10일까지는 휴면에 들어간다. 2월 10일부터 차츰 가장 적당한 온도에 도달하게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온도의 과도한 상승이다. 온도의 과도한 상승과 지렁이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벗기는 것을 주의해야한다. 이때가 가장 힘든시기이다. 낮에는 사방의 비닐을 모두 걷어 주어야 하며, 밤에는 다시 잘 덮어주어야 하며, 물을 제때 주어야 한다. 3월부터 6월 10일까지는 지렁이의 성장 및 산란의 가장 좋은 시기이다. 6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는 여름철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다. 온도 조절을 위하여 매일 물을 주는 것이 좋다. 8월 20일부터 10월말까지는 지렁이의 두번째 산란의 좋은 시기이다. 이후에 점차적으로 휴면에 들어간다.


2.2 습한 것을 좋아하고, 건조한 것을 싫어한다.


지렁이 체내의 수분함수량은 약 80%이다. 먹이의 함수량은 60~80%(손으로 쥐었을 때, 물이 똑똑 떨어질 정도), 그러므로 사육상의 함수량은 60%이상이다. 매일 혹은 이틀에 한번 꼴로 반드시 물을 주어야한다. 물은 너무 많이 주지 말아야 하며, 물은 아래층의 먹이까지 스밀 정도이면 좋다. 겨울에는 점심시간에 물을 주고, 여름에는 밤에 물을 준다. 봄과 가을에는 낮에 주면 된다.


2.3 어두운 곳을 좋아하고, 밝은 것을 싫어한다.


지렁이는 밤에 활동한다. 달이 떠있을 때 활동하고 먹이를 먹는 것을 볼 수 있다. 습도유지와 차광을 위해 사육상에 볏짚을 덮어주는 것이 좋다.



2.4 공기를 좋아하고, 조용한 것을 좋아한다.


먹이가 느슨한(헐렁한)것이 지렁이 성장에 좋다. 우리의 경험상, 먹이투입전 사육상을 뒤집어주어(약 20㎝정도) 공기를 통하게 한다. 이 부분은 상당히 중요하다. 다년간 검사결과 사육상의 가장 아래 부분에는 지렁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먹이는 그대로 남아있다. 이것은 공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지렁이 성장이 좋지 않다.


3. 지렁이 양식기술


3.1 먹이의 전처리




① 먹 이 준 비 : 기초 먹이준비, 이물질 제거 및 분쇄,

② 발 효 제 : 일반적인 톱밥, 쌀겨, 잡초를 잘게 썬다. 가정에서 흔 한 세균, 목장세균 등

③ 혼합 과 보습 : 먹이에 첨가한 것들을 충분히 혼합후, 발효가 잘 되도 록 습도를 50%정도로 조절한다.

④ 발 효 : 퇴적법은 발효의 기본인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심한 퇴적은 삼간다. 퇴적발효시, 퇴적물은 약 1m정도로 하며, 폭 2~5m, 길이는 무제한이다. 먹이를 쌓은 후 건조 및 습도유지와 미생물의 분해를 위해 비닐로 덮는다.

⑤ 뒤 집 기 : 발효기에는 온도(발효열)를 기록해야 한다. 원료가 온 도가 50~70℃까지 올라갔다가 떨어질 때, 원료를 다 시 한번 뒤집어 주면 내부의 덩어리들이 다시 발효 를한다. 미생물이 충분히 발효 부숙이 될 수 있도록 이때 수분을 50% 정도로 맞춰준다. 뒤집기 3~5일 후 습도가 높아지지 않거나, 색깔이 갈색(검은계통)으로 변 하고, 푸석푸석해지고, 악취가 없다면 발효가 끝난것이다.

⑥ 습도 조절 : 발효가 끝난 후, 건조로 인한 결석 및 독성으로의 변 질을 막기 위해 습도를 70%로 조절한다.

3.2 지렁이 양식 개요




지렁이 양식 15㎏를 계산하였을 경우, 15㎏의 지렁이 종자가 필요하다. 1㎏에 약 3000마리, 총계 45000마리가 된다. 1㎡당 1 만마리를 양식할 수 있다. 4.5㎡의 사육상이 필요하며, 사육상(床)의 두께는 25㎝정도. 열흘간격으로 분변토 제거와 먹이투입을 하며 새로운 먹이와 함께 뒤집어준다. 지렁이 알 부화 30일 동안, 보오보습을 유지해야한다. 지렁이 알 부화상(床)은 두께가 약 15㎝정도. 부화상의 먹이는 잘게 분쇄를 해야하며, 습도를 유지해야한다. 1㎡당 5~6만 마리를 부화할 수 있으며, 열흘간격으로 느슨하게(헐겁게) 해줘야한다. 부화율과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부화상은 충분한 공간과(4㎡)정도와 통기를 잘 시켜주어야 한다.

어린 지렁이는 초기 40일 동안 성장이 느리다. 열흘간격으로 분변토를 제거하며, 뒤집기와 동시에 먹이를 투입한다. 사육상의 면적은 약 8㎡정도. 40일 후에는 지렁이의 성장과 지렁이 양식 밀도를 낮추기 위해 사육상을 25㎡정도로 늘인다. 양식 후반기에는 매주 뒤집기를 해주며, 동시에 분변토 제거와 먹이투입을 한다. 사육상의 두께는 약 50㎝. 80일 후에는 약 200㎏의 지렁이는 수거할 수 있다. 예를들어 30개 사육상(사육상 15㎏기준)을 만들었다면, 일년동안 양식(총 9개월)으로 54t을 생산할 수 있다. 연간 증가 120배. 1㎡생산 24㎏, 200평당 16t을 생산한 것이 된다.


3.2.1 종자생산지를 마련한다.


종자양식 20~30일후 1m2당 1만 마리 정도를 생산할 수 있다. 지렁이 알과 분변토를 동시에 얻은 후 부화상에 넣어 부화시키고 이것을 사육한다. 이런 방법들은 기존의 크고 작은 지렁이가 혼합되어 키우는 양식법과 비교하여 높은 생산성을 얻을수 있다. 즉 혼합된 지렁이를 사육하는 경우 성장한 지렁이 수확시기를 놓쳤을 경우, 먹이를 낭비 및 양식설비 방치를 의미한다.


3.2.2 심층밀식법(深層密植法) :


양식상 먹이의 두께는 약 50㎝, 밀도는 1㎡당 3~5만 마리 정도로 유지한다. 지렁이는 먹이 중에 분포하며, 깊이별로 분포되는 양상은 12.5㎝ 이내 약 33.5%; 12.5~25㎝중 약28%; 25~37.5㎝중 약 20.5%; 37.5㎝중 약 18%로 서식한다 .


ㅇ 일차 먹이급이량 :

지렁이의 생장이 가장 왕성한 시기에는 지렁이 총중량 × 40배의 먹이를 일차로 급이한다. 이 방식은 지렁이 개체의 발육이 가장 왕성할 때 사용하며, 이 방법은 먹이를 한번에 많이 급이하게 되므로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 예시 1㎡에 30000마리를 사육한다고 가정할 때, 발육이 왕성한 지렁이의 중량 0.3g, 정도 이므로 지렁이 생체량은 30000 ×0.3=9㎏이 된다, 그러므로 먹이 급이량은 일차에 360㎏이다.(9×40), 이 방법을 이용시 아래의 몇 가지 주의해야한다.

(1) 먹이는 충분히 발열시켜야한다. 사육상에서 재발효가 일어나면 안된다.

(2) 심층먹이의 습도는 60%정도를 유지해야한다. 이것은 지렁이의 신 진대사 및 미생물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만일 먹이투입시 면적이 작거나, 50㎝를 넘겼을 경우, 지렁이 새끼 를 위에 놓아야 한다. 이때 상층의 분변토를 제거하여 지렁이 새 끼가 50㎝정도 밑까지 들어가며 먹이를 먹도록 해야 한다. 양식후 기에는 매일 사육상을 뒤집어야 한다.


ㅇ먹이급이량 증가법

처음 50㎝ 먹이 투입시, 지렁이는 1㎡당 30000~50000마리를 이식한다. 분변토가 70%정도일 때 표층의 분변토를 제거하고 약 30㎝정도 먹이를 다시 투입한다. 먹이의 급이량이 지렁이 생육에 가장 적합한 시기에 해당하는 30배가 될 때, 주의를 기울여 검사해야 하며, 투입해야 한다.


ㅇ지렁이 수확

지렁이의 체중이 0.32~0.36g 일때가 가장 적절한 시기이다. 너무 일찍 수확을 할 경우 생산량이 낮고 먹이의 낭비이므로 수시로 검사하여 수확시기를 잘 선택하여야한다.

ㅇ지렁이의 먹이 소비량

지렁이는 새끼부터 생육이 왕성할 때까지 체중이 25~30배 가량 증가한다. 그러므로, 1㎏의 지렁이를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먹이는 25~30㎏의 먹이가 필요하다.


ㅇ먹이의 분쇄급이

지렁이의 생장과 먹이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지렁이 성장속도에 약 1.5배정도의 영향을 미친다. 먹이의 분쇄정도는 지렁이 성장에 중요한 요소이다.


ㅇ 지렁이 생장의 특성

지렁이는 부화후 40일 까지는 천천히 성장한다. 그리고 40~80일에 성장이 가장 빠르다.(0.36g까지) 80일 후에는 체중이 감량되므로, 높은 생산량을 위해 적절한 시기에 수확을 해야한다.


4. 지렁이 사육 경험


4.1 양식품종


赤子愛勝蚓, 일본에서 들어온"大平二 "의 특징은 번식률이 높다. 연간 200배 이상증가, 고정 주거(住居)의 성질이 강하며, 열에 강하고 추운 것을 잘 견딘다. 일년사계생산가능. 지렁이의 무게와 분변토의 생산량이 높다.


4.2 양식방식


10년 건립이래, 우리는 일반 노지에서 양식을 해왔다. 우리의 견해로는 이 방식은 자본을 가장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며, 대규모 양식을 할 경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이 방식은 어떤 설비투자가 필요치 않으며, 노지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발효되지 않은 우분, 마분, 돈분을 15~20㎝정도 두께와, 1.5~2m정도의 폭으로 쌓으면 된다. 길이는 제한이 없다. 여기에 지렁이를 투입하고, 볏짚으로 차광하며 습도를 유지하면서 양식을 할 수 있다. 우리는 작은 몇 ㎡부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이 방식은 조절에 용이하며 발효과정에서의 일들을 감량 할 수 있었으며, 먹이의 손실이 적고, 지렁이의 성장속도를 높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방식은 농촌에 보급할만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 방식에도 단점은 있다. : 일단 발효를 시작하면, 지렁이가 사멸되고 , 여름철 장마기에는 사육상에 공기가 통하지 못하여 지렁이가 다른 곳으로 도망가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런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먹이를 새것으로 바꿔주며, 이것을 약간의 덩어리로 만들어 주어 지렁이 생존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 준다. 이 방식의 관건은 먹이의 함수량을 60~70%로 조절하는데 있다. 너무 습한 것을 피하여, 발효로 인한 지렁이의 죽음을 방지하여야 한다.


4.3 번식과 생장


지렁이 알 생산량 : "大平二 "지렁이의 연간 알 생산량은 56~58개 가량. 그중 40%가 봄에 생산하며, 여름이 25%, 가을이 27%, 겨울이 8%이다.

부화율은 한 개의 알에서 평균적으로 5~8마리를 부화한다. 가장 많은 것은 12마리. 그러나 발육이 정상적인 것은 3~4마리 정도이다.


온도의 차이에 따라 부화시간 및 부화율의 차이



4.4 생장기


새끼 지렁이의 생장 초기에는 천천히 자란다. 번식기에 들어간후에도 성장이 늦다. 성숙기의 1개월 전후가 지렁이의 성장이 가장 빠른시기이다. 이때 수확을 한다면 가장많은 수확을 할 수 있다.

그밖에, 지렁이의 성장속도와 먹이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먹이가 같지만, 먹이의 분쇄정도에 따라 지렁이 성장속도에 1.5배까지 차이가 난다. 그러므로, 먹이의 분쇄정도를 잘 조절해야만(만약 먹이에 덩어리가 발견됐다면, 물을 조금 주고 반죽을 하면된다.)지렁이의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4.5 양식밀도


지렁이 양식의 수량을 1만마리 이내로 통제해야한다. 1㎡당 3㎏(2~3.1만마리)를 생산한다. 어린지렁이 초기에는 3만 마리/㎡, 후기에는 2만 마리로 조절한다.


4.6 생산량


1㎡당 연간 10㎏의 지렁이의 생산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6~8㎏정도 생산한다. (북방지역은 일년 중 8~10월중에 생산한다.) 먹이를 25~30㎏를 투입하면, 1㎏의 지렁이를 수확할 수 있고, 70%정도의 분변토를 얻을 수 있다. 우리의 경험으로는 5톤의 우분으로 1t의 분변토를 얻을 수 있으며, 100㎏의 지렁이를 수확 할 수 있다.


4.7 사육관리


ㅇ먹이의 공급

제때에 먹이를 공급해 주는 것이 지렁이 성장에 가장 큰 요인이다. 지렁이 수확에 유리한 먹이를 쌓아서 주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경우, 두께를 10㎝정도로 하고, 사육상 전체를 깔 필요는 없으며 평평하지 않아도 된다.


ㅇ지렁이의 양식 온도

가장 적합한 온도는 15~25℃이다. 겨울철에는 온도유지와 습도유지를 위하여 먹이를 40~50㎝정도로 두텁게 주며, 볏짚으로 덮어준 후 비닐로 다시 한번 덮어준다. 여름철에는 매일 물을 주어 온도를 낮춘다.


ㅇ먹이분류 양식

지렁이들을 종자군, 번식군, 생산군으로 나누고, 매월 2차례 먹이를 준다. 먹이투입전에 뒤집기를 한번하고, 이때 먹이투입을 약 10㎝정도 한다. 먹이의 통풍성을 유지해주며 수확을 한다.

수확시기 : 여름철 매월 수확 1 회, 봄.가을철 1.5월 수확 1 회, 수확 후 먹이를 보충해 주어야 한다.

출처 :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205&eid=%2BprJpHEmWTh0SZ90KRdLb%2BpM3SpJPzml

 

 

 

 

지렁이를 키우는데 4가지 요소만 충족시켜 주면 된다고 생각한다

첫째, 온도 15-25도의 온도를 유지하여 주면 된다

둘째, 습도 70%정도의 습도를 유지하여 주면 된다

(손으로 만져보면 젓은 느낌이 들면 된다)

셋째 먹이 잘 분해되어 있는 미생물이 많은 유기물을 좋아한다

(뼈, 섞은것, 비료, 농약과 같은 것은 좋지 않다)

넷째 지렁이는 어두운 곳을 좋아한다 (빛을 좋아하지 않는다)

 

출처 : 광수굼벵이
글쓴이 : 광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