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초액이란
무엇인가 ? 목초액이란
나무를 탄화시킬 때 나오는 연기를 포집하여 냉각하면 당적색의 코를 톡 쏘며 누린내가 나는 액체를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이 목초액이다. 목재가 열분해하여 탄화해가는 과정에서 고체 생성물인 목탄 외에 기체인 나무 가스와 목초액을 함유하는 액체 생성물이
얻어지는데 이 액체 생성물을 정치하면 분리가 되어 상층의 적다색 수용액이 목초액이며 하층에 있는 흑색의 정정질 유상물이 목타르이다.
목초액은 10-20%가 유기 화합물이고 나머지 90-80%는 수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유기 화합물 중 주요 성분이 초산이기 때문에
목초산이라고도 하여 미량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약 2백 종류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목초액은
충해를 죽이는 기능과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생기기 힘들게 하는 성질도 갖고 있으며 또한 화장실의 악취와 축사에서 나오는 냄새를 제거하는 작용도
하는데 2백 종류나 되는 목초액의 성분 중 실제로 여러 가지 목초액의 작용과 직접 관련이 되는 성분은 50종류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각각의 성분이 제각기 고유의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목초액의 작용이 복합적으로 다양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목초액의
제조 방법 목재
열분해서 발생하는 연기를 냉각하여 정치하면 두 층으로 분리된 액체를 얻을 수 있는데 상층의 적갈색 액체가 목초액이다. <표 1> 수목 품종별 목초액 생산 등급
목초액의
병충해에 대한 사용 어성초나
마늘을 6개월 정도 담가 사용하면 살균효과는 한층 더 높아진다. 목초액과 숯을 혼합하면 효과는 더 높아진다.
따라서 숯과 목초액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정착되고 있다. 숯은 재료인 수목에 포함되어 있는 셀룰로스, 리그닌 등이 숯 구울
때에 열분해되어 남은 것으로 80-90%가 고정 탄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숯 조직을 현미경으로 보면 가로, 세로로 크기가 다양한 구멍이 무수히
뚫려 있으며 마치 파이프를 묶은 것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 구멍이 많아 전체의 표면적이 커진다.
목초액을
권장하는 이유 목초액은
물분자의 크기를 146hz로 쪼개줌으로써 일반물의 3배나 강한 침투액을 갖고 있다. 즉 물이 크라스터가 작은 물은
세포 조직으로의 침투력이 높아 식물에 살포하면 엽면의 기공이 활발하게 개폐 작용을 하여 대사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액비와 혼합해
사용하면 흡수율이 높아지므로 소량을 혼용함으로써 경비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특징과 효과를 잘 파악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①
식물체(종자 포함)로의 침투력이 강하고 빠르다. ②
식물이 필요로 하는 유기산이나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다. ③
강한 살균력과 전착 효과가 있다. 앞으로
환경 보존형 농법인 한농 천연 농법에 숯과 함께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농자재로 기대된다.
<표 2> 목초액의 병충해에 대한 사용 예
목초액은
숯을 굽는 과정에 나무가 열분해 되면서 나오는 연기를 냉각시켜 일정기간 정치하여 엄격한 정제과정을 통해 유해한 물질을 제거한 순수한 천연성분의
액체가 바로 유효 한 목초액 입니다. 목초액은 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PH3 전후의 산성액체이며, 그 외에도
개미산, 프로 피토산등 200여가지의 유효성분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천연목재를
고온가열하여 열분해 한 것을 종합반응으로 응용하여 탄화는 과정에서 기화되는 가스를 냉각원리에 의해 기체와 액체를 분리하여 추출한 액체로 주성분은
알콜류, 페놀류, 에스틸류, 알테히드 및 희귀원소등 280여 종류의 순수한 합성물질입니다.
l 목초액
농법이란 ? 처음부터
목초액만으로 옆면 시비 및 관주를 하는 신 농법으로 꼭 필요할 때만 농약을 혼용해 살포하고 해당 원소를 시비하는 방법을 두고 일컫는
것이다. l 목초액의
특징 ◈
토양소독과 개량이 동시에 가능하다.(선충억제와 토양재생) 목초액은
산도(PH)가 2-3 강산성이다. 그러나 유기산이므로 무기산과는 달리 토양에서 빠른 시간(약 1시간)내 약
알카리성으로 변하면서 노화된 토양환경을 중화 시켜주고 발아 및 성장장애, 염류장애, 토양선충 등 갖가지의 명해에 대해 설균 및 번식을 차단
시켜준다. -
초기에는 강한 살균작용을 하고 후기에는 미생물의 유효한 양분이 된다. -
물리적 성질이 개선되고 투수성이 좋아 유효미생물 번식증가로 비옥한 토양이 이루어지며 선충피해 예방 및 감소에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선충이
심한 경우에는 숯가루를 혼용해 사용하십시오. -
작물에 대한 토양환경을 좋게 하며 특히 염류집적이 심해 시들음이 자주 오는 토양에 500 ~ 1000배로 관주해 주면 피해를 극소화 시키도록
물리적 환경을 개선시킨다. ◈
강한침투와 흡수, 전착력이 우수하다.(농약 혼용시
상승효과) 물에
목초액을 희석하면 융합이 잘 되고 물분자 크기가 약 1/3(146hz에서 53hz)로 작아짐으로 침투력에서 3배의
효과를 올릴 수 있어 어떤 조건에서도 침투와 확산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혼용하는 농약이나 기타 영양성분의 효과까지도 상승시키게
된다. -
어떠한 부분에도 잘 전착되어 비료, 농약의 성분을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
타 비료, 농약들과 혼용이 잘 잘되고 물 분자 크기가 적어지므로 침투 및 흡수가 좋아 1/2 ~ 1/3 감량하여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약효과 높고 전착력이 있어 장기간 지속됨으로 방제살포 회수를 줄일 수 있다. ◈
발근 및 건정생육과 선출의 억제로 병해의 내성을 높혀준다. 이식전후의
침지 및 관주, 엽면살포로 뿌리발근과 성장촉진을 돕고 병충해 예방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고추와 담배 등의 바이러스에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
동해와 약해 피해시에는 500배로 5일간격 2번이면 만족할 것입니다. 농약 혼용시 효과가 배가
됩니다. ◈
특히 착색과 당도를 높여 주는데 좋으며 저장성에도 좋은 고품질이 가능합니다. l 목초액의
성공사례 ◈
사과재배에서 ... 동면기가
지난 뒤에는 부란병 예방으로 100 ~ 200배액을 나무에 흘러내릴 정도로 살포해 주고, 잎이 어릴 때는
약800배액으로, 성장기에는 400 ~ 500배씩 옆면살포 해준 결과 진딧물, 응애 그리고 까치 등의 조류의 피해가 거의 없었으며 세균성
반점병과 갈변병 등의 피해없이 뛰어난 색상의 굵은 사과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용 첫해인 금년에도 칼슘을 비롯한 필수 영양소와 꼭
필요한 농약 그리고 목초액만으로 성공적인 사과 농사를 할 수 있었습니다. (과수의 경우 기력이 약한 노묘일 때는 200 ~ 300배 뿌리관주
2회로 회생시킬 수 있습니다) ◈
수박재배서는... 가장
큰 문제인 토양의 비료집적으로 인한 뿌리 발생량의 감소로 나타내는 생육불량 및 시들음을 방지하고 치유하기 위해 약
800배 정도로 2차례씩 관주를 해주고는 500 ~ 600배로 옆면시비를 3~4차례 해준 결과 당도 높고 품질 좋은 수백재배가 가능했을뿐더러
토양개선 효과까지도 얻게 되었습니다. 특히 갑작스런 한파로 인한 동해 피해와 약해 피해를 회복키 위해서는 각가 1 ~ 2차례씩의 500배의
엽면시비만으로 가능했습니다. ◈
딸기, 풋고추, 화훼, 오이, 단감재배에서도... 사용
첫해 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완벽한 농사가 가능해 건강한 영농과 재배자도 마음 놓고 먹을 수 있는 생물을 출하 시킬 수 있었습니다. ◈
참외, 토마토, 포토에는... 이미
특정농가에서 무농약 재배를 실제로 하고있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약 50 ~ 80(%)의 농약혼용 재배를 하더라도
농약효과 발생후의 잔류독성 탈취 및 악취 제거능력이 탁월하므로 잔류독성이 거의 없는 신선한 과일 출하가 가능할 것입니다.
◈
고추 그리고 도시근교 엽채류, 양파, 마늘, 감자, 인삼, 생강, 천궁 등의 근채류 재배와 골프장 잔디조성,
버서, 화훼, 축산에도... 목초액의
탁월한 효능이 오염된 농산물 생산에 대한 걱정을 말끔히 씻어주리라 기대됩니다.
(*
목초액은 그 뛰어난 성능이 이미 알려져 많은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재배 현장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초기에는 시험 사용을 해서 적응해
주시기 바랍니다. ※
()는 물 20ℓ당 사용방법임
|
'비료,상토,친환경유기농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목초액의 기본지식 /자연농법[身土不二] (0) | 2013.01.02 |
---|---|
[스크랩] 씨크롭 (0) | 2012.05.25 |
[스크랩] 장흥에 전국 첫 휴머스?미네랄 혼합 비료공장 (0) | 2012.05.11 |
[스크랩] 휴머스 미네랄 비료의 특징 (0) | 2012.05.11 |
[스크랩] 해양심층수 이용분야 ,특성 (0) | 2012.05.11 |